2/9 건강식품 보리쌀의 효능을 알아본다
운영자
2014-02-09
추천 0
댓글 0
조회 1075
건강식품 보리쌀의 효능을 알아본다
1960년대 보리쌀은 가난한 사람들의 주식이었다면, 쌀(백미)은 부자들의 주식이었습니다. 그러나 반세기가 지난 지금은 보리쌀은 부자들의 주식이 되고 쌀(백미)는 서민들의 주식으로 바뀐 것입니다.
그렇다면 반세기 동안에 이렇게 달라진 것은 건강상 보리밥이 쌀밥보다 낫기 때문입니다. 보리밥에 무엇이 들어 있기에 쌀밥보다 더 났다는 것입니까? 오늘은 건강식품 보리쌀 효능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보리쌀과 육장 육부 : 보리쌀은 간, 담에 좋은 식품군으로 분류되며, 성분은 단백질9.5~11.8%, 지방질1.1~1.2%로 쌀보다 높고, 당질77%로 쌀의 81.6%보다 낮지만 섬유질은 보리가 훨씬 더 많습니다.
보리는 낟알 중앙 깊은 골에 섬유질이 붙어있어 도정을 해도 제거되지 않습니다. 섬유질 때문에 쌀밥보다 거친 질감을 줍니다. 그래서 보리쌀은 물이 잘 스며들지 않아 밥을 짓기 전에 보리쌀을 먼저 삶든지, 아니면 물에 불려 놓았다가 쌀과 같이 밥을 해야 제대로 밥이 될 정도입니다.
요즘은 압력 밥솓이 좋아 별 문제는 없지만 그래도 그렇게 해야 밥이 부드럽게 됩니다. 요즘은 이런 불편함을 덜기 위해 도정한 보리를 눌러놓은 압맥과 홈을 따라 쪼갠 후 도정한 할맥으로 쌀과 함께 바로 밥을 짓기도 합니다. 이런 불편이 있어도 쌀의 16배나 되는 식이섬유에 눈을 뗄 수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리고 보리의 역사는 기원전 7천년 경이며, 우리나라는 기원전 1500년경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었다고 합니다. 보리쌀을 영양학적으로 보면 무기질인 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 등이 들어 있는데 이들은 각각 30mg%, 190mg%, 3mg%, 1.9mg% 및 237mg%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한국인에게 부족하기 쉬운 칼슘, 철의 함량이 쌀에 비해 각각 8배, 5배나 높습니다. 그리고 비타민 종류도 B1, B2 및 나이아신 등이, 쌀에 비해 1.5~2배 이상 함유되어 있고, 쌀과 달리 내부에 분포되어 있어 도정을 해도 손실이 거의 없습니다.
2.당뇨병 예방의 효과 : 보리쌀 효능은 당 생성을 억제함으로 당뇨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보리는 밀가루의 5배, 쌀의 16배, 이상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어 식이섬유 공급원으로 중요한 식품입니다.
특히 보리밥은 혈당을 조절하고, 영양가가 높고 열량이 낮아 당뇨병과 성인병 예방에 큰 도움이 됩니다. 보리밥에 끈적거리는 수용성 식이섬유인 베타 글루칸은, 소장 내에 영양소의 흡수를 방해하며, 담즙산과 지질의 흡수를 잘 방지할 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3. 소화개선의 효과 : 보리쌀에 들어 있는 식이섬유는 물에 녹지 않는 불용성과 물에 녹는 수용성 두 가지를 다 가지고 있는데, 수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이 대단히 높으며 이것이 소장에서 소화 흡수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 수용성 식이섬유가 대장에 도달하면 점질성의 수용성인 식이섬유인 베타 글루칸은 대장 내 미생물에 대하여 급속히 발효되어 여러 가지 휘발성 물질을 생성하게 됨으로, 장내 가스를 유발하게 되어 보리밥을 먹으면 방귀가 잦아지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이 발효 덕분에 아세테이트와 프로피온산 등 짧은 사슬의 지방산들이 발효부산물로 생성이 되고 이것들은 간에서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저해 합니다. 특히 부티르산과 같은 지방산이 대장 내에 증가하게 되면 대장암에 대한 보호효과를 발휘하므로 보리의 장내 발효는 생리적으로도 대단히 중요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보리밥은 천연 소화제로서 소화가 잘 되게 하고, 오장을 보호하고, 체한 기운을 없애주며 식욕을 증진합니다.
4. 뼈 건강 효과 : 보리쌀은 백미보다 칼슘은 19배, 아연은 5배로 영양가 높고,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합니다. 뼈를 튼튼하게 하고 피로회복에 도움이 되면 피부미용에도 좋습니다.
5. 다이어트 효과 : 보리쌀의 칼로리는 100g당 140칼로리며 적은 양으로도 포만감을 느낄 수 있답니다.보리쌀은 포만감도 생기고 소화도 잘되어 다이어트에 도움이 됩니다. 보리쌀에 들어 있는 두 가지 식이섬유는 소화기관을 통과할 때 많은 수분을 흡수함으로 대변의 용적을 증가시키고,
장내 통과시간을 단축시키는 등의 생리작용을 나타내는 반면, 콜레스테롤 저하작용과 장내 균총의 환경을 개선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합니다. 그리고 다른 곡물에 비해 월등히 많이 들어 있는 베타 글루칸 식이섬유는 포만감을 주어 식품의 섭취량을 줄여 줌으로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습니다.
6. 항암 효과 : 보리에 함유된 프로안토시아니딘이라는 물질은 항암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를 모우고 있으며, 또 최근에 보리에 들어 있는 폴리페놀화합물에 면역증강효과, 항 알레르기 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학계 보고되었습니다.
폴리페놀화합물은 활성산소를 소거하는 능력과 우수한 항산화성을 갖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천연 항산화제는 적당한 양을 주기적으로 섭취할 경우 노화와 성인병을 줄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보리에는 미량이지만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는 토코트리에놀이라고 하는 토콜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최근 더욱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보리밥은 가난한 자의 대명사 이었으나 이제는 오히려 성인병을 예방하는 견지에서 건강식품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습니다. ? -담임목사(자연치유전공)-
1960년대 보리쌀은 가난한 사람들의 주식이었다면, 쌀(백미)은 부자들의 주식이었습니다. 그러나 반세기가 지난 지금은 보리쌀은 부자들의 주식이 되고 쌀(백미)는 서민들의 주식으로 바뀐 것입니다.
그렇다면 반세기 동안에 이렇게 달라진 것은 건강상 보리밥이 쌀밥보다 낫기 때문입니다. 보리밥에 무엇이 들어 있기에 쌀밥보다 더 났다는 것입니까? 오늘은 건강식품 보리쌀 효능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보리쌀과 육장 육부 : 보리쌀은 간, 담에 좋은 식품군으로 분류되며, 성분은 단백질9.5~11.8%, 지방질1.1~1.2%로 쌀보다 높고, 당질77%로 쌀의 81.6%보다 낮지만 섬유질은 보리가 훨씬 더 많습니다.
보리는 낟알 중앙 깊은 골에 섬유질이 붙어있어 도정을 해도 제거되지 않습니다. 섬유질 때문에 쌀밥보다 거친 질감을 줍니다. 그래서 보리쌀은 물이 잘 스며들지 않아 밥을 짓기 전에 보리쌀을 먼저 삶든지, 아니면 물에 불려 놓았다가 쌀과 같이 밥을 해야 제대로 밥이 될 정도입니다.
요즘은 압력 밥솓이 좋아 별 문제는 없지만 그래도 그렇게 해야 밥이 부드럽게 됩니다. 요즘은 이런 불편함을 덜기 위해 도정한 보리를 눌러놓은 압맥과 홈을 따라 쪼갠 후 도정한 할맥으로 쌀과 함께 바로 밥을 짓기도 합니다. 이런 불편이 있어도 쌀의 16배나 되는 식이섬유에 눈을 뗄 수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리고 보리의 역사는 기원전 7천년 경이며, 우리나라는 기원전 1500년경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었다고 합니다. 보리쌀을 영양학적으로 보면 무기질인 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 등이 들어 있는데 이들은 각각 30mg%, 190mg%, 3mg%, 1.9mg% 및 237mg%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한국인에게 부족하기 쉬운 칼슘, 철의 함량이 쌀에 비해 각각 8배, 5배나 높습니다. 그리고 비타민 종류도 B1, B2 및 나이아신 등이, 쌀에 비해 1.5~2배 이상 함유되어 있고, 쌀과 달리 내부에 분포되어 있어 도정을 해도 손실이 거의 없습니다.
2.당뇨병 예방의 효과 : 보리쌀 효능은 당 생성을 억제함으로 당뇨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보리는 밀가루의 5배, 쌀의 16배, 이상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어 식이섬유 공급원으로 중요한 식품입니다.
특히 보리밥은 혈당을 조절하고, 영양가가 높고 열량이 낮아 당뇨병과 성인병 예방에 큰 도움이 됩니다. 보리밥에 끈적거리는 수용성 식이섬유인 베타 글루칸은, 소장 내에 영양소의 흡수를 방해하며, 담즙산과 지질의 흡수를 잘 방지할 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3. 소화개선의 효과 : 보리쌀에 들어 있는 식이섬유는 물에 녹지 않는 불용성과 물에 녹는 수용성 두 가지를 다 가지고 있는데, 수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이 대단히 높으며 이것이 소장에서 소화 흡수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 수용성 식이섬유가 대장에 도달하면 점질성의 수용성인 식이섬유인 베타 글루칸은 대장 내 미생물에 대하여 급속히 발효되어 여러 가지 휘발성 물질을 생성하게 됨으로, 장내 가스를 유발하게 되어 보리밥을 먹으면 방귀가 잦아지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이 발효 덕분에 아세테이트와 프로피온산 등 짧은 사슬의 지방산들이 발효부산물로 생성이 되고 이것들은 간에서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저해 합니다. 특히 부티르산과 같은 지방산이 대장 내에 증가하게 되면 대장암에 대한 보호효과를 발휘하므로 보리의 장내 발효는 생리적으로도 대단히 중요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보리밥은 천연 소화제로서 소화가 잘 되게 하고, 오장을 보호하고, 체한 기운을 없애주며 식욕을 증진합니다.
4. 뼈 건강 효과 : 보리쌀은 백미보다 칼슘은 19배, 아연은 5배로 영양가 높고,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합니다. 뼈를 튼튼하게 하고 피로회복에 도움이 되면 피부미용에도 좋습니다.
5. 다이어트 효과 : 보리쌀의 칼로리는 100g당 140칼로리며 적은 양으로도 포만감을 느낄 수 있답니다.보리쌀은 포만감도 생기고 소화도 잘되어 다이어트에 도움이 됩니다. 보리쌀에 들어 있는 두 가지 식이섬유는 소화기관을 통과할 때 많은 수분을 흡수함으로 대변의 용적을 증가시키고,
장내 통과시간을 단축시키는 등의 생리작용을 나타내는 반면, 콜레스테롤 저하작용과 장내 균총의 환경을 개선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합니다. 그리고 다른 곡물에 비해 월등히 많이 들어 있는 베타 글루칸 식이섬유는 포만감을 주어 식품의 섭취량을 줄여 줌으로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습니다.
6. 항암 효과 : 보리에 함유된 프로안토시아니딘이라는 물질은 항암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를 모우고 있으며, 또 최근에 보리에 들어 있는 폴리페놀화합물에 면역증강효과, 항 알레르기 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학계 보고되었습니다.
폴리페놀화합물은 활성산소를 소거하는 능력과 우수한 항산화성을 갖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천연 항산화제는 적당한 양을 주기적으로 섭취할 경우 노화와 성인병을 줄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보리에는 미량이지만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는 토코트리에놀이라고 하는 토콜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최근 더욱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보리밥은 가난한 자의 대명사 이었으나 이제는 오히려 성인병을 예방하는 견지에서 건강식품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습니다. ? -담임목사(자연치유전공)-
댓글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