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칼럼

  • 담임목사 >
  • 건강 칼럼
1/19 건강식품 좁쌀의 효능을 알아본다.
운영자 2014-01-19 추천 0 댓글 0 조회 288
건강식품 좁쌀의 효능을 알아본다.

2014년 새해에도 첫째 화두는 물질이요, 다음 화두는 건강을 손꼽고 있습니다. 건강은 그만큼 중요합니다. 그런데 건강의 비결을 말할 때, 매일 먹는 음식을 빼놓고는 건강을 논할 수 없을 정도로 음식 문제가 매우 심각합니다.

옛날에 도시가 크게 발달하지 않았고, 교통수단도 미비하여 사람이 태어나 일정한 지역을 벗어나지 않고 생을 마감하던 시대에는 신토불이라 하면 태어난 곳에서 지름 100리(40km) 안쪽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신토불이라 하면 자기가 태어난 나라에서 자란 전체 식물(食物)로 보고 있을 정도로 그 개념이 광범위하게 바뀌고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지금은 지구촌 시대를 맞이하여 세계 각국 어디를 가도 계절을 구분 할 수 없을 정도로 열대과일이 사계절 쏟아지고 있으며, 우리의 음식문화, 먹거리도 이제 정체성을 점점 잃어 가고 있습니다. 3끼 밥만 먹던 시대, 곡기를 끊으면 죽는 줄로만 알았는데, 퓨전 음식이 들어와 흰 백색 밀가루, 흰 설탕, 흰 조미료를 과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밖에서 식사를 하는 셀러리맨의 경우 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신토불이 먹거리라 할지라도 마음 놓고 먹을 수 없고, 무엇이, 어디에, 어떻게, 좋은지를 알지 못하면 신토불이 먹거리도 건강을 챙기는데, 별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건강식품 좁쌀(차조<파란좁쌀> 매조<노란좁쌀>)에 대하여 구체적인 효능과 쓰임새에 대하여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좁쌀(매조)와 육장 육부 : 좁쌀(차조, 매조)는 비, 위에 좋은 식품군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좁쌀이 좋은 것은 우리의 옛 조상들이 손꼽아 챙기셨던 오곡 중에 하나입니다. 오곡은 장부에 골고루 영향을 주는 좋은 음식으로서 정월대보름에 먹는 오곡밥이 바로 그런 의미입니다.

좁쌀은 오곡에 속하는 잡곡으로, 서숙이라고 부르는 차조와 좁쌀이라고도 부르는 메조가 있는데 자세히 살펴보면 차조의 성분은 100g당 수분 12.0%, 단백질 10.4g, 지질 4.7g, 탄수화물 69.5g, 섬유소 1.7g, 회분 1.8g, 칼슘 9mg, 인 330mg, 철 3.0mg, 나트륨 2mg, 칼륨 510mg, 비타민 B1 0.1mg, 비타민 B2 0.03mg, 나이신 3.2mg이 들어있으며, 성질이 약간 서늘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습니다.

이와 같이 차조는 찹쌀과 함께 지은 밥은 소음인 체질의 수험생에 특히 좋으나, 약간 찬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태음인이나 소음인이 차조만 장복하는 것은 좋지 않고 다른 잡곡과 혼용한 다면 큰 문제는 없습니다.

메조의 성분은 100g당 수분 12.23%, 단백질 7.8%, 지방3.96%, 당질 73.5%, 섬유 2.06%, 회분 1.37%로 전분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지방, 단백질, 환원당, 비타민 B군, 칼슘, 철분 등이 포함되어있습니다. 매조도 성질은 약간 서늘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습니다.

노란 좁쌀(매조)은 파란좁쌀(차조)와 거의 같이 소화가 잘되고, 배변을 촉진하며, 위를 다스려주고 내장을 고르게 하며, 오래된 속병을 다스려주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변이 자주 마려운 것을 고쳐주고, 열을 내리게 하며, 혈당을 조절해 주고,

황달 치료에도 좋으며, 단전의 힘을 기르고, 갈증을 없애주며, 허약체질을 개선하여, 소화력을 높여주며, 토사곽란 후에는 위의 경련을 멈추게 하는데, 따끈한 미음의 약효는 물론이려니와, 여름철이나 장마철에 좁쌀 뜨물을 끓인 후, 간을 맞추어 마시면 갈증을 없애고, 장염을 예방하게 하며, 어떤 발열성질환에도 조미음은 원활한 소화기의 기능과 몸의 영양을 도우며,

피부병이 있어 가려울 때, 좁쌀뜨물로 닦아주면 치유가 빠르고, 좁쌀 껍질을 끓여, 땀띠를 씻으면 특효가 있으며, 발아시킨 싹은 비장을 튼튼히 하고, 식채를 없애며, 식욕부진을 치료해주며, 좁쌀은 쌀에 비해 영양가가 월등하여 미음으로 먹으면, 병약자의 원기회복이 빠름으로 큰 도움이 됩니다.

2. 배변을 촉진 : 좁쌀(매조)는 소화흡수가 잘 됨으로 비위를 좋게 하며 또한 식이섬유가 많음으로 배변을 촉진함으로 대장을 이롭게 합니다. 대장이 깨끗한 사람이 피부 미인이 됩니다. 따라서 좁쌀은 내장을 고르게 함으로 오래된 속병을 다스리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평상시에 속이 편하지 않는 분, 음식을 드시고 소화를 못시킴으로 음식을 잘 드시지 못하시는 분, 식사를 하면 잘 체하시는 분에게는 제격인 식품입니다. 특히 동양인은 비위가 약한 황색을 띤 인종임으로 잡곡을 혼용할 때 비위에 좋은 식품을 두 배로 처방을 하게 됩니다. 이때 주로 좁쌀을 두 배로 처방하게 됩니다.

3. 폐와 산후 회복 촉진 : 차조는 폐를 회복하게 하는데 좋은 곡식으로 폐병과 음허를 다스리고, 산후 회복과 조혈이 빨라 당뇨와 빈혈에 좋은 효과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당뇨에는 묵은 좁쌀(진속미: 陳粟米)로 죽을 끓여 먹는 것이 매우 좋으며, 또한 위장, 무릎, 신장, 해독작용, 혈액순환에 탁월하여 신물, 구역질, 딸꾹질, 설사 등에 뛰어난 효능을 발휘합니다.

* 주의사항 좁쌀은 순기능이 많지만 오장의 기를 막고, 풍을 동하게 하므로, 많이 먹는 것, 장복하는 것이 좋지 않으며, 특히 살구 씨와 함께 드실 경우 토하고 설사를 할 수도 있음으로 합식은 삼가야 합니다. -담임목사(자연치유전공)-

자유게시판 목록
구분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1/26 봄에 건강하려면 간담을 지켜라. 운영자 2014.01.26 0 89
다음글 1/12 건강 식품 율무의 효능을 알아본다 운영자 2014.01.12 0 101

03965 서울 마포구 성미산로1길 100 (성산동) TEL : 02-325-3927 지도보기

Copyright © 마포성산교회. All Rights reserved. MADE BY ONMAM.COM

  • Today14
  • Total175,655
  • rss
  • facebook
  • facebook
  • facebook
  • facebook
  • facebook
  • 모바일웹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