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五味)를 알면 건강을 지키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실 때 창1:27절에 자기의 형상을 따라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인간을 사랑하사 같은 날에 씨맺는 채소와 씨가진 열매를 먹거리로 창조하셨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이 창조하신 먹거리 채소와 열매는 독특한 맛을 지니고 있습니다. 맛의 비밀을 알면 건강을 지키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1. 신맛(산미, 식초 맛) 신맛은 간담이 허약할 때 좋으며, 입안에 침을 돌게 하고, 식욕, 생기, 지식욕을 돋게 합니다. 그리고 입술이 갈라질 때 신맛은 피부를 윤택하게 됩니다. 비만한 사람이 신맛을 먹으면 살이 더 찌게 됩니다. 신맛은 바람(풍)을 부르며, 풍은 비대한 사람이 잘 맞으며, 특히 바람 많은 계절 봄에 더욱 심화 됩니다. 그러므로 비대한 사람은 신맛을 멀리해야 합니다.
건망증이나 치매 환자의 처방은 반드시 매실 같은 시큼한 약재가 들어가며, 연탄가스 중독 등으로 의식 잃은 환자에게 식초(김치국)를 마시게 하는 응급처치도 같은 원리입니다. 신맛을 지나치게 섭취하면 목극토의 원리에 의해 목기인 간담의 기가 넘치고, 토기인 비위가 약해집니다. 보통체격의 사람이라면 가을에 신맛을 좀 더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물이 메마른 가을은 오행 상, 금에 해당함으로, 금극목으로 금기는 목기를 억제함으로 가을에 부족하기 쉬운 목 기운에 좋은 신맛을 넉넉히 섭취하시면 건강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2. 쓴맛(고미) 쓴맛은 심장과 소장이 허약할 때 좋으며, 기를 하강, 건조시키고, 견고하게 하고, 대소변을 소통시킵니다. 쓴맛은 오행 상 화(여름)에 해당되며, 보통체격의 사람은 수극화에 따라 화가 부족하기 쉬운 겨울에 화의 기운인 쓴 음식을 약간 더 드시면 좋습니다. 쓴맛인 생도라지는 가래를 없애 주고, 흉중에 뭉쳐진 기를 풀어 주는 약재로 쓰고, 백두옹(할미꽃)은 비만한 사람의 이질, 치질, 같은 습열을 걷어 내는 작용을 합니다. 익모초는 잘 고아서 환이나 고약처럼 복용하면 몸을 덥게 하고, 어혈을 풀고,피를 생성시키는 여성의 약입니다.
쑥은 임신을 하게하고, 태아를 편하게 하며, 임신 중 복통을 멎게 하고, 산모의 하혈을 멎게 합니다. 달래, 고들빼기, 씀바귀는 자신을 태우지만 남을 따뜻하게 하여, 사랑으로 자손을 퍼트리며, 오미자는 5가지 맛이 있는데, 그 중에 쓴맛은 불임남녀의 치료제로 쓰입니다. 녹차는 들뜬 기운을 차분하게 하고, 이뇨작용이 있어 소변을 시원케 하며, 비만 체질에 도움을 줍니다.
3. 단맛(감미) 단맛은 비위가 약할 때 좋으며, 과하게 섭취하면 내부에 응체되어, 살이 찌게 됩니다. 단맛의 대표인 감초로 동의보감에 9가지 흙의 기운을 받아 자라므로 72가지의 광물성 약재와 1200가지 초약 등 모든 약을 조화시키는 효능이 있다 하였습니다. 또한 화해의 약으로 일체의 중독증에 흑두감초 탕(해독제로 녹두, 검정콩, 감초)을 처방합니다. 보통체격의 사람은 목극토로 목 기운(봄)이 성한 봄에 토 기운(단맛)을 억제하므로 단 음식을 평소보다 조금 더 먹는 것이 좋습니다. 또 봄에는 음심(淫心)이 발동하기 쉬운 계절임으로 의도적으로 단맛을 즐기면 음심의 발동을 막는 효과도 있습니다. 그러나 단맛은 신기를 약하게 하는 기운이 있어, 과하면 신장의 뼈와 골수가 약해지며 이가 나빠질 수 있습니다.
4. 매운맛(신미) 매운 맛은 폐 대장이 허약할 때 좋으며, 매운맛은 의지가 약한 사람, 비만하며 게으르고 안일한 사람에게는 체중감소와 정신을 각성 시켜 주는 효과도 있습니다. 그러나 마른 사람이나 사업에 실패한 사람, 대입 낙방 생들에게는 정신적으로 좋지 않습니다. 매운맛은 피부에 쓰며, 초기 냉기는 땀으로 배출하는 발한요법이 가장 효과적임으로, 감기 초기에는 생강과 파뿌리 달인 물이나 매운 콩나물국을 먹고 땀을 내는 요법을 씁니다.
그러나 만성인 기침감기로 허약한 사람에게 매운맛으로 억지로 발산시키면 고질병으로 진행하게 됨으로, 매운맛보다는 시고 단 유자차, 오미자, 은행 등이 약이 됩니다. 매운맛은 장이 약한 사람, 노인성 설사를 잘하는 사람은 금물이며, 이때 신맛으로 중화시키면 좋습니다. 임산부에게는 유산이 우려되어 매운맛을 약재로 쓰지 않으며, 기생충은 습하고 서늘한 곳을 좋아하고. 덥고 열이 나는 음식에 약함으로, 산초, 후추 등, 구충제로 사용합니다.
작약도 흰 꽃 뿌리는 기의 약인데, 붉은 꽃 뿌리는 혈의 약으로 쓰입니다. 여름에 오장육부는 땀과 함께 열이 빠져나가 냉해지는 까닭에, 다른 계절보다 설사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여름에는 따끈한 물로 차가워진 속을 풀고, 매운맛을 드시면 큰 도움이 됩니다. 화극금임으로 마른 체질이 아니면 여름에 부족하기 쉬운 금의 기운을 보충하는 매운 음식을 평소보다 좀 더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짠 맛(함미) 짠맛은 신장 방광이 약할 때 좋으며, 굳은 덩어리를 연하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배추절임) 염분이 들어 있는 망초라는 약재는 덩어리를 물렁물렁하게 풀어 주는 약재로 씁니다. 적취를 없애는 방법으로 가시나무와 같이 뾰족한 기운을 이용하여 찔러 파괴, 망치처럼 단단한 기운으로 부수거나, 하초에 냉기로 뭉친 신장결석 같은 경우 따뜻한 약재로 풀어 주고, 굳어 있는 적취는 짠맛을 이용하여 물렁하게 하며, 소금의 짠맛은 음탕한 기운을 없애 주며, 교만하고 두려움이 없는 사람은 짜게 먹는 것이 건강에 좋습니다. 무염 식품을 많이 먹는 사람들은 대체로 교만합니다.
- 담임목사 (자연치유심신의학전공
.jpg)

댓글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