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족냉증을 이겨야 건강에 청신호가 켜집니다.
오늘은 수족냉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족냉증을 유발하는 원인은 한마디로 한냉증입니다. 한냉증은 수족 외에도 무릎, 허리, 배 등의 신체의 시린증상, 몸이나 팔다리에서 찬바람이 나는 듯하고, 땀이 나면서도 춥고, 전신이 쑤시고, 오히려 얼굴이나 가슴은 열이 올라오는 증상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증상으로는 설사, 변비, 대사량의 증가, 불임, 월경불순, 구역감, 침이 자꾸 고이는 증상, 숨이 차는 증상, 얼굴이 뜨거운 증상 등 여러 가지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보통 한냉증은 대부분 추운 계절에 증상을 주로 나타내지만, 사람에 따라서 간혹 일년 내내 냉증을 호소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한냉증을 완화하고 치료하기 위해서 일상생활 속에서 할 수 있는 것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먼저 음식을 정제된 음식이나, 밀가루, 단 음식, 가공식품, 인스턴트, 기름진 음식 등을 피하고, 더덕, 당근, 인삼, 도라지, 둥글레 등 근채류 위주로 드시는 것이 좋으며, 잠자는 시간과 식사 시간을 일정하게 하여 생활의 리듬이 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날마다 일정한 시간동안 햇볕을 쬐면서 걷기 정도의 중등 강도의 운동을 하시고, 무엇보다 스트레스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마음의 여유를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할 수 있으면 몸을 따뜻하게 할 수 있도록 내의, 양말, 장갑, 목도리, 모자 등으로 몸 끝부분을 특별히 잘 보온 하는 것이 중요하며, 물도 음료수 보다는 몸을 따뜻하게 하는 차를 드시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수족냉증에 도움 되는 음식으로 따뜻한 성질의 음식으로, 생강, 쑥(강화 싸리쑥, 사자발쑥 등 약쑥), 밭마늘, 대추 등이 좋습니다.
그리고 차가운 성질이긴 하나 혈액순환을 잘되게 하는 음식은 혈액을 잘 돌게 함으로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음식이 성질이 차가운 성질이라고 해서 모두다 몸을 차갑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차가운 성질인데도 수족냉증에 좋은 음식으로 대표적인 것이 익모초일 것입니다. 익모초는 찬 성질을 갖고 있지만 혈액순환을 좋게 하므로 여성 생리불순, 생리통 등에도 좋으며, 수족냉증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수족 냉증에 좋은 생강, 참쑥(약쑥), 익모초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1. 생강은 몸을 따뜻하게 해줍니다.
동의보감에 생강은 몸의 냉증을 없애고 소화를 도와주며 구토를 없앤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생강은 기침, 감기, 몸살, 목의 통증 완화에도 매우 좋습니다. 그리고 메스꺼움과 멀미에도 역시 생강이 최고입니다. 뉴욕 타임스 인터넷판 의학저널 ‘란셋’에 생강이 멀미약보다 멀미 효과가 2배나 이상 뛰어나다고 보고했습니다. 그리고 혈액순환을 도우며, 혈중 콜레스테롤을 없애기도 합니다. 일본 교토대학교의 야마하라 조지 박사는 생강의 진저롤이 담즙을 촉진시켜 피 속의 콜레스테롤을 없앤다고 밝혔습니다.
생강의 매운맛 성분은 혈액이 딱딱하게 굳는것을 막는 역활을 합니다. 덴마크 오덴스 대학 스리바스타바 박사는 생강이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해 혈전을 막고, 뇌경색과 심근경색, 고혈압을 예방 및 개선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똑같이 매운맛을 내는 마늘이나 양파보다 생강이 혈액응고를 막고 혈액순환을 돕는 효과가 큽니다. 그리고 생강은 해열작용에 효과있습니다. 이탈리아 나폴리대학교의 마스콜로 박사는 생강이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인체 내에서 합성된 생리 활성 물질로 장기나 체액 속에 분포해 있으면서 생리 작용을 촉진시키는 물질)의 생성을 억제해 해열을 촉진시킨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또한 생강은 화학 소염, 진통제와 비슷한 효과도 있습니다. 화학 약제를 복용하면 위염이나 위궤양이 발생할 수 있지만 생강은 위벽을 보호하므로 건강에 이롭습니다. 노화 및 각종질병 예방에 효과가 큰 생강은 산화 방지에도 효과적입니다. 사람은 몸 안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가 신체에 깊이 관여하면서 노화가 일어납니다. 항산화 작용이 뛰어난 생강을 먹으면 노화뿐 아니라 각종 질병 예방에도 도움이 됩니다. 여성의 건강에 특히 좋은 생강입니다.
여성미 한의원 조선화 원장은 “생강은 속이 냉해 소화가 안 되고 잘 붓는 여성, 비위가 약한 임산부의 입덧에 도움이 된다고 하며, 생강은 몸이 차고 속이 냉해서 유발 되는 참 쑥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쑥을 생각하면 되겠으며, 성질이 따뜻하고 통증 억제하는 효능이 있어서 하복부가 차거나 생리가 고르지 못한 경우에 쓰고, 또 지혈효과가 있어서 코피나 토혈, 자궁출혈 등에 쓰인다고 했습니다. 생강을 복용하여 수족냉증을 막고 건강에 청신호가 켜지기를 바랍니다.(2-4 다음 주에)
- 담임목사(자연치유심신의학전공) -
댓글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