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을 찾아 드시면 건강으로 가는 길이
2월 4일이 입춘입니다. 입춘은 1년 24절기 중에 첫 번째 절기로서 이날부터 새해의 봄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한 해를 시작하면서 1년 동안 대길(大吉), 다경(多慶) 하기를 기원하는 뜻에서 '민간에 입춘대길(立春大吉, 입춘을 맞이하여 길운을 기원한다는 뜻), 건양다경(建陽多慶, 봄의 따스한 기운이 감도니 경사로운 일이 많으리라는 뜻)이라고 글을 써서 대문간에 붙이는 풍습이 있습니다. 그런데 글을 대문간에 서 붙인다고 입춘대길, 건양다경이 온다고 믿는 것은 민간신앙, 무속신앙에 지나지 않습니다.
입춘은 대한과 우수 사이에 오는 절기로서 겨우 내내 얼었던 대지가 녹고 날씨가 풀리는데 우리 인체도 큰 변화를 겪게 됩니다. 즉 봄은 간담의 계절입니다. 겨우내 움추렸던 몸이 기지 게를 켜고 꿈틀거리기 시작 하는 계절입니다. 즉 계절의 변화, 인체의 변화에 따라 겨우 내내 먹던 음식을 입춘에 맞게 음식을 바꾸어 드셔야 합니다. 봄의 전령인 봄나물을 찾아 밥상에 올려야 가족이 건강으로 가는 길이 열립니다.
그래서 옛날 궁중에서는 오신반(五辛盤)을 수라상에 얹었고, 민가에서는 세생채(細生菜)를 만들어 먹으며, 함경도에서는 민간에서 명태순대를 만들어 먹었다고 합니다. 경도잡지와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경기도 산골지방(畿峽)의 육읍[양근(楊根), 지평(砥平), 포천(抱川), 가평(加平), 삭녕(朔寧), 연천(漣川)]에서는 총아(움파). 산개(멧갓). 신감채(승검초) 등 햇나물을 눈 밑에서 캐내어 임금께 진상하였다고 합니다.
궁중에서는 이것으로 오신반(다섯 가지의 자극성이 있는 나물로 만든 음식)을 장만하여 수라상에 올렸다고 합니다. 오신반은 겨자와 함께 무치는 생채 요리로 엄동(嚴冬)을 지내는 동안 결핍되었던 신선한 채소의 맛을 보게 한 것입니다. 또 이것을 본떠 민간에서는 입춘 날 눈 밑에 돋아난 햇나물을 뜯어다가 무쳐서 입춘 절식으로 먹는 풍속이 생겨났으며, 춘일 춘반(春盤)의 세생채라 하여 파, 겨자, 당귀의 어린 싹으로 입춘채(立春菜)를 만들어 이웃 간에 나눠먹는 풍속도 있었다고 합니다.
본래 오신채는 불교에서 중들이 수행하는데 방해되는 다섯 가지 음식으로써 마늘, 부추, 파, 달래, 흥거 등 양념류로서 종교적이라기보다는 신체적인 작용이 너무 강하여 다섯 가지 식물을 날것으로 먹으면 화를 잘 내게 되고, 익혀서 먹으면 음란한 마음을 일으킨다고 하여 먹지 못하게 하였던 것입니다. 그러나 인도에서 수행하는 한국 출신 중은 텃밭에서 오신채를 길러 먹는 다고 하였으니 아이러니 합니다. 아무튼 입춘에는 봄나물을 찾아서 드시는 것이 건강으로 가는 길임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봄나물로는 냉이, 달래, 쑥, 씀바귀, 움파, 멧갓, 방풍나물, 보리 잎, 봄동, 등이 좋습니다. 이는 대부분 간에 좋은 식품으로 청입춘에 열립니다.맞는 록녹색, 신(식초)맛을 가지고 있는 식물이 대부분입니다.
달래 양파겉절이 : 재료 / 달래 150g, 보라색 양파, 홍고추 1/2개씩, 통깨 1큰 술, 양념(고운 고춧가루·다진 마늘, 곱게 간 양파 2큰 술, 까나리 액젓 3큰 술, 생강즙, 설탕 1큰 술, 홍고추 곱게 간 것 1개 분량, 소금 약간) 만들기 1 달래는 뿌리 쪽 흙을 깨끗이 씻은 뒤 굵은 뿌리 부분은 반을 갈라주고 3~5cm 길이로 썬다. 2 양파는 얇게 채썬 뒤 찬물에 잠시 담갔다가 건져 물기를 턴다.
3 고추는 반을 갈라 씨를 빼고 가늘게 채 썰어 물에 담갔다가 건진다. 4 큰 볼에 ①, ②, ③을 담아 골고루 섞은 뒤 먹기 전에 양념을 넣어 버무리고 통깨를 뿌린다. 돌나물 물김치 : 재료 / 돌나물 100g, 무 150g, 당근 1/2개, 배, 오이 1/4개씩, 생강 4×4cm, 마늘 2톨, 실파 3대, 물 1000cc, 소금 적당량, 만들기 : 1 돌나물은 볼에 담아 한번만 씻어 물기를 털고, 무는 3×3cm 크기로 썬다.
2 무에 약간의 소금을 뿌려 10분간 절였다가 찬물에 살짝 헹궈 짠맛을 빼고 체에 건져 물기를 뺀다. 3 당근과 배는 껍질을 벗기고 얇게 썬 뒤 모양 틀로 찍고, 오이는 껍질째 소금으로 문질러 씻은 뒤 얇게 썰어 모양 틀로 찍는다. 4 생강은 껍질을 벗겨 2cm 길이로 얇게 채썰고, 마늘도 얇게 채 썬다. 실파는 3cm 길이로 썬다.
5 생수에 소금을 넣고 녹여 간을 맞추고 생강을 넣은 뒤 준비한 모든 재료를 넣어 섞는다. 냉이 소라무침 : 재료 / 냉이 250g, 소금 약간, 소라살 150g, 생강 슬라이스 1쪽, 오이 1/2개, 실파 1대, 통깨 1작은 술, 생강즙 1큰술, 레몬 소스(고추장·다진 마늘·다진 파 2큰 술, 레몬즙, 식초, 설탕, 참기름, 요리 엿 1큰 술, 깨소금 1작은 술), 만들기 : 1 냉이는 잔뿌리를 손질하고 뿌리 부분의 껍질은 칼로 살살 긁어내고 여러 번 씻어 헹군 뒤 굵은 뿌리는 반을 갈라 저미고 6~7cm 길이로 썬다.
2 끓는 물에 ①과 소금을 넣고 10초만 데친 뒤 찬물에 헹궈 물기를 뺀다. 3 냄비에 소라 살과 생강 슬라이스 1쪽을 함께 넣고 살짝 데친 뒤 식혀서 소라살만 건져 얇게 저며 썬다. 4 오이는 껍질째 소금으로 문질러 씻은 뒤 세로로 반을 갈라 얇게 썬다. 5 레몬 소스 재료를 섞어 차게 준비해두었다가 큰 볼에 담고 냉이, 소라 살을 넣어 골고루 버무린다. 6 실파를 송송 썰어 넣고, 통깨, 생강즙을 넣어 한 번 더 버무린다. -담임목사(자연치유전공)-
댓글0개